-
제6장 기업윤리와 사회적 책임경영학 2025. 2. 13. 01:29
1. 기업윤리
1) 윤리의 개념적 접근
(1) 개념 : 윤리란 도덕이 객관화된 사회정신 또는 사회제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2) 윤리, 도덕, 법
도덕이 종교적 판단에 많이 의존한다면 윤리는 종교를 초월하는 경향을 띠고 있다
법은 사회 전체적으로 최소한의 윤리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타인에게 해가 되는 일을 한 행위에 응징의 행위
(3) 윤리의 의무
소극적윤리 : 타인에게 해가 되는 일을 하지 않는다
적극적윤리 :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하는 것이다
2) 기업성격의 변화과정과 경영성과
(1) 기업성격의 변화
강한기업-규모의 경제-성장
국제기업-비교우위-뛰어남
지구공생기업-선(Good)-사회적 공헌 및 비전의 공유
(2) 경영성과
경영성과는 자본성과, 노동성과, 그리고 사회성과로 구성된다
3대 경영성과 중에서도 시대의 변천에 따라 사회성과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사회적 가치창출이 기업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3) 경영윤리
대내- 조직원간의 비도덕 및 윤리 행위 금지-기업가 정신바탕
대외-상회적 지탄대상금지-소비자보호, 환경, 장학사업
4) 윤리지수
윤리-윤리적대상의 행위/사회적기대치
변수는
사회적 기대치
윤리적 대상의 행동
사회적 압력(pressure)
매스컴에 의한 노출(exposure)
2. 기업의 사회적 책임
1) 사회적 책임의 개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란 기업활동과 관련하여 야기되는 사회적 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기업과 관련이 있는 이해관계자 집단과 사회일반의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기업의 규범적 체계이다.
2) 경여윤리와 사회적 책임의 비고
과정적 요소-결과적 요소
소극적 - 적극적
구성원(조직원) 간 - 조직차원
3) 사회적 책임의 범위
(1) 주주부의 극대화
기업의 목적과 연관하여 주주부의 극대화를 실현해야 하는 일차적인 책임
(2) 이해관계자 집단에 대한 이해조정 책임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이해관계인 간에 발생할수있는 여러가지 유형의 이해를 조정하여 원만하게 해야 할 의무
(3) 적극적 사회적 책임
수동적인 대응에서 벗어나서 환경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창조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여론으 주도하고 사회발전의 핵심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
제7장 경영의사결정과 전략적 경영
'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8장 경영의 순환과정 경영의 계획화, 경영의 조직화 (0) 2025.02.17 제7장 경영의사결정과 전략적 경영 (0) 2025.02.16 제4장 환경변화와 대응전략 (0) 2025.02.12 제2장 경영학의 발달사(1) (0) 2025.02.11 제1장 현대경영의 개관 (0) 2025.02.10